[일반논문] 스수칭의 『빅토리아 클럽』에 나타난 홍콩사회의 식민구조
김양수(동국대 서울캠퍼스 중문학과 교수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129-149
|
2021 |
[기획특집] 파타피직스 세계의 기계와 인간: 《독신자 기계》전(1975)을 중심으로
한의정(충북대 조형예술학과 조교수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81-105
|
2021 |
[기획특집] 컴퓨터의 하드웨어 옹호를 통한 ‘사물’에 대한 사유
최소영(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강사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55-79
|
2021 |
[기획특집] 이미지 전쟁을 넘어 사물로 돌아가기
김주옥(홍익대 예술학과 겸임교수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29-54
|
2021 |
[기획특집] 사물의 왕국에서: 토머슨 핀천의 『브이』에 관한 신유물론적 접근
박인찬(숙명여대 영어영문학부, 숙명인문학연구소 소장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1-28
|
2021 |
[일반논문] ‘기술/매체’ 시대의 재난과 시: 파울 첼란의 「죽음의 푸가」와 이영광의 「마음 1」을 중심으로
정유선(조선대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237-264
|
2021 |
[기획특집] 아브젝트, 혐오와 이질성의 미학
이재준(숙명인문학연구소 HK조교수)
『횡단인문학』 8호, 107-128
|
2021 |
[일반논문] 『日用指訣』에 나타난 조선 후기 선비의 일상
조헌철(세종대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강사)
『횡단인문학』 7호, 255-293
|
2021 |
[일반논문] 화신 관념을 통해 본 郭象의 성인관
오일훈(한국학 중앙연구원 박사과정 수료)
『횡단인문학』 7호, 225-253
|
2021 |
[일반논문]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의 과제: 일본어 화자용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
김희경(후쿠오카여자대 국제문리학부 준교수)
『횡단인문학』 7호, 185-224
|
20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