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안녕하십니까.
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오는 12월 15일(금)-16일(토)에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.
숙명인문학연구소 HK+사업단은 2020년부터 “혐오시대, 인문학의 대응” 아젠다를 수행하며 혐오 현상을 다각적으로 성찰해 왔습니다.
이번 국제학술대회 <포용적 공동체: 다중 위기 시대, 상호의존과 상생의 모색>에서는,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구적 위기와 분열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나아가 상호의존과 상생의 공동체를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.
다중적인 위기 앞에서 우리가 어떻게 상호의존하고 상생할 수 있는 공동체를 이뤄 나아갈지에 대한 논의의 장을 아래와 같이 마련했사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숙명인문학연구소 HK+사업단
제3회 국제학술대회 <포용적 공동체: 다중 위기 시대, 상호의존과 상생의 모색>
○ 일시: 2023년 12월 15일(금)-16(토)
○ 장소: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 신한은행홀 601호
실시간 Zoom /유튜브 송출 <줌 링크:
https://sookmyung-ac-kr.zoom.us/j/86036649014?pwd=t0vFhfEHa2hUbjyRWnXUm7gVyrnvXA.1>○ 프로그램
[1일차 프로그램] 12월 15일, 금요일, 10:00-18:00 |
10:00-10:30 | 등록 |
사회 : 유수정(숙명여대) |
10:30-11:30 | [사전행사] 학문 후속 신진연구자 발표 - “관계인구와 환대의 공동체” 발표: 김소영(숙명여대) 토론: 주필주(경찰대) - “미니멀리즘과 오브제 담론” 발표: 박미정(숙명여대) 토론: 이진희(숙명여대) |
11:30-12:00 | 사전행사 종합토론 |
12:00-13:00 | 휴식 |
사회: 강미영(숙명여대), 이지형(숙명여대) |
13:00-13:10 | 개회사 박인찬(숙명여대, HK+사업단장) |
환영사 장윤금(숙명여대, 총장) |
13:10-13:40 | [기조강연] -“인류세 시대의 민주주의” 발표: 황정아(한림대) |
13:40-13:50 | 휴식 |
13:50-15:30 | [제1부] - “포용과 소속감에 대한 고려” (Considering Inclusivity and Belonging) 발표: 멜린다 맥코믹(웨스턴 미시건대) 토론: 육성희(숙명여대) - “인류세 시대, 인간과 비인간의 공동체 시론” 발표: 이재준(숙명여대) 토론: 경혜영(숙명여대) |
15:30-15:40 | 휴식 |
15:40-17:20 | [제2부] - “초고령사회 일본의 포용적 공동체를 향한 노력: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을 막기 위한 협동 실천” (超高?社?日本における包括的共同?(Inclusive Community)への取り組み ? 高?者の社?的孤立を防ぐ協???) 발표: 야마 요시유키(간사이카쿠인대) 토론: 김희경(경북대) - “헤겔의 변증법적 전망에서 포용적 공동체를 위한 변형과 교육” (Transformation and Education to an Inclusive Community from Hegel’s Dialectical Perspective) 발표: 크리스티안 호프만(아이히슈태트-잉콜슈태트 가톨릭대) 토론: 곽영윤(고려대) |
17:30-18:00 | 종합 토론 |
[2 차 프로그램] 12월 16일, 토요일, 10:00-18:00 |
사회: 김지영(숙명여대), 정경수(숙명여대) |
[세션 1] 인종, 젠더 혐오 |
10:00-12:00 | - “개인화 시대, 연대의 조건들” 발표: 이승훈(숙명여대) 토론: 전유정(전남대) - “서울가정법원의 창립과 “사회재판소”의 탄생: 소년비행 및 이혼조정에 따른 인종화 실천을 중심으로” 발표: 김대현(역사문제연구소) 토론: 전원근(제주대) - “포용적 공동체의 재구상: 영화<크리에이터>의 피상적 오리엔탈리즘, 인종, 자본주의에 대한 교차적 접근” 발표: 김혜윤(한성대) 토론: 김경옥(숙명여대) |
12:00-12:50 | 휴식 |
[세션 2] 노인, 질병-장애 혐오 |
13:00-14:50 | - “인식틀의 전환: 돌봄의 객체에서 주체로” 발표: 박승억(숙명여대) 토론: 하홍규(숙명여대) - “장애-언어의 정치성과 ‘몸-마음’의 퍼포먼스” 발표: 양근애(명지대) 토론: 이진아(숙명여대) - “발달장애인 범죄와 치료적 사법: 혐오를 넘어 치유와 공존으로” 발표: 유기훈(서울대) 토론: 이행미(숙명여대) |
14:50-15:00 | 휴식 |
[세션 3] 비인간 혐오 |
15:00-17:00 | - “상처입은 치유자: 커스틴 존스의 <딕 존슨이 죽었습니다>에 나타난 매체 고찰” 발표: 정현규(숙명여대) 토론: 김혜진(숙명여대) - “면역과 취약성: 팬데믹 이후 생명/삶의 정치” 발표: 황임경(제주대) 토론: 이지선(전남대) - “혐오를 넘어 의미의 공동생산자로: 해양쓰레기와 함께 만드는 의미-실천” 발표: 김지혜(이화여대) 토론: 김준수(KAIST) |
17:10-17:50 | 종합 토론 |
17:30-18:00 | 폐회사
|